포스코는 포항의 상징이다. 1968년 4월 1일 용광로에 첫 불을 지피면서 포스코의 옛 이름인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의 역사도 시작됐다. 익히 알다시피 포스코는 대일청구자금으로 설립된 국민 회사다. 일제 식민지 36년의 역사를 돈으로 보상받아 세운 회사라는 말이다. 포스코는 아픈 역사의 상징이자 산업화의 상징이다. 이 사실은 두고두고 포스코의 발목을 잡는다. 공기업인 포스코가 지난 2000년 9월 민영화됐지만, 대일청구자금으로 세운 회사가 민영화됐다고 해서 공공성이 사라지는 건 아니다. 사실상 공기업이다보니 최고경영자를 정권에서 내려보낸다는 것은 공공연한 비밀이다. 정부와 포스코 측은 강력히 부인하고 있지만, 정권이 바뀔 때마다 포스코 최고경영자 인선에 관한 잡음이 매번 터져나왔다. 과거 MB 정권 최고 ..
LEICA/photo
2017. 1. 6. 15:42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스캠프
- 동호숲
- 하치만자카
- 두루미
- 포항화진해수욕장
- 타이토호텔
- 지리산
- 재주몸국
- 홋카이도_한정_삿포로_클래식
- 가난은상대적인것이다
- 제주도돼지두루치기
- dji_매빅프로
- 카라반모터스
- dji_mavic_pro
- 미세먼지를피해서
- 삿포로
- 쯔루이무라
- scamp_13ft
- 물이너무없다
- 호텔타이토
- 라이카Q
- 하코다테
- 제주도가시식당
- 홋카이도
- 뽈락포인트
- 원룸가얌체주차근절
- 랭글러_루비콘
- 제주도
- 아칸
- 쿠시로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글 보관함